article id #85
categorized under 웹이야기 & written by cryinglemon
categorized under 웹이야기 & written by cryinglemon
1. 문서형 선언 |
- 문서의 맨 앞에 DTD를 명시한다.
- 기존의HTML DOCTYPE은SGML 기반이었기 때문에DTD를 명시할 필요가 있었다. 하지만HTML5에서DOCTYPE은 브라우저가 표준 모드로 작동되게 하는 역할만 하면 되기 때문에 아주 간소해 졌다
<!DOCTYPE html>
2. 자연어 명시 |
- 현재 문서의 주된 자연어를 명시한다.
- 국가별 언어코드 표준명세 : http://trio.co.kr/webrefer/others/langcode.html
<html lang="ko">
3. 문자 인코딩 지정 |
- 문자인코딩 방식을 명시한다.
기존에 사용하던 방식
[HTML4]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⁄html: charset=utf-8">
[XHTML1.0]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⁄html: charset=utf-8" ⁄>
HTML5
- HTML5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과 새롭게 추가된 charset속성 모두 허용한다.
- 인코딩을 명시하지 않은 페이지일 경우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.
<meta charset="UTF-8">
4. 마크업하기 |
HTML5문서의 기본적인 구조 요소인 HTML, HEAD, BODY 요소로 구성한다.
5. 유효성 검사 |
- 오류를 방지하고 구조적인 마크업문서를 제작하기 위해 반드시 HTML유효성 검증하는 것이 좋다.
유효성 검사 제공 사이트 : The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
'웹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매일 HTML5 공부 06] 시맨틱 마크업을 위한 요소들 (0) | 2013.05.05 |
---|---|
[매일 HTML5 공부 05] 섹션 관련 요소들 (0) | 2013.05.04 |
[매일 HTML5 공부 03] 새롭게 추가된 요소와 제거된 요소 (0) | 2013.05.02 |
[매일 HTML5 공부 02] 추가된 개념 (0) | 2013.05.02 |
[매일 HTML5 공부 01] 개요 (0) | 2013.05.02 |